< 트라이아스기의 생물 2 >
계속해서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생물과 공룡들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이 시기에 살았던 생물은 또 세부 항목으로 분류되는데, 그 이름은 포포사우리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포포사우리아에 속하는 세 가지 종류의 생물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에피기아
포포사우리아에 속하는 첫 번째 생물인 에피기아는 석형류에 속하는 동물계 생물입니다. 마찬가지로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현재의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살았던 잡식성 지배 파충류입니다. 이름의 뜻은 '귀신'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화석이 발견된 지방의 이름이 '고스트 랜치'였기 때문에 따 온 이름이라고 합니다. 지역은 미국의 뉴멕시코 지방이었다고 해요. 발견 당시에 오르니토미무스류 공룡들과 유사한 생김새를 가졌지만, 발목의 구조나 여러 특징을 고려했을 때 공룡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악어에 가까운 파충류였다고 하네요. 이처럼 악어류에 가까운 특징과 타조 공룡을 연상시키는 생김새 때문에 독자적 슈보사우루스과로 분류되었다고 합니다. 두 발로 설 수 있고, 균형을 잡기 위한 긴 꼬리를 가졌으며, 큰 특징으로는 이빨 대신에 부리가 있는데 이는 주로 씨앗을 부수거나, 거칠고 질긴 식물을 뜯어낼 때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모식표본은 1947년부터 일 년 동안 이 지역에서 화석 발굴을 진행했던 에드윈 콜버트에 의해 발견되었는데요, 당시에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한동안은 박물관에 처박혀 있다가, 2006년에 재발견되어서 현재의 학명을 부여받은 것이라고 하네요. 한편, 에피기아와 근연관계에 있는 실로수쿠스는 지상 최대의 위악류 중 하나로, 몸길이는 최대 10m에 달했습니다. 이는 파솔라수쿠스의 최대 크기와 같다고 하네요.
- 로토사우루스
로토사우루스는 동물계의 석영류에 속한, 우리와 가까이 중국에서 서식했던 초식성 지배 파충류입니다. 이름의 뜻은 '연꽃 도마뱀'이라고 합니다. 이 녀석의 화석이 발견된 곳은 중국 후난성인데 그 별칭이 '연꽃의 나라'였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처음 발견된 곳의 지명이 어떤지에 따라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 참 신기한 듯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로토사우루스의 화석은 모두 중국 후난성에서 발견되었는데, 이 한 장소에서 40여 마리의 골격이 발견되었을 정도로 상당히 밀집도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몸길이는 1.5에서 2.5m 정도이며, 단궁류인 스페나코돈과 비슷하게 신경배 돌기가 돛 형태로 돋아있다고 합니다. 당시 후난성 일대의 환경은 습한 늪지대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녀석은 조개나 갑각류 등을 잡아먹는 잡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측하며, 거북이의 부리처럼 아래로 구부러진 주둥이를 가진 것으로 보아 무는 힘이 강했을 것이며, 그 때문에 단단한 조개나 갑각류를 잡아먹었을 것이라고 추정합니다.
- 애리조나사우루스
동물계의 석형류에 속하는 애리조나사우루스는, 현재의 북아메리카 지역에 서식했던 육식성 지배 파충류입니다. 최초의 화석이 발견된 곳의 이름을 딴 '애리조나의 도마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애리조나사우루스의 등에는 신경 배돌기가 달려 있었고, 앞서 알아본 로토사우루스의 그것과 유사한 구조인 것을 감안하여 이들을 통칭하는 포포사우루스류로 재분류되었다고 합니다. 용도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체온을 조절하기 위한 용도나, 과시용이거나, 돛 형태가 아니라 혹처럼 지방이 붙어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합니다. 몸의 길이는 약 3m 정도로 추정되며, 트라이아스기 중기 당시에 해당 생태계에서 자기보다 작은 파충류나 초식성 단궁류 등을 먹고 살던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최초로 발견된 화석 표본은 위 턱뼈와 고작 몇 개의 이빨이 전부였기 때문에 1947년에 학계에 보고될 당시에는 포스토수쿠스 같은 라우이수쿠스류의 일종으로 추정했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2002년에 비교적 온전한 골격 화석을 발견하게 되면서 드디어 세부적인 특징에 대한 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다고 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생물 중에서도 포포사우리아과에 속하는 에피기아, 로토사우루스, 애리조나사우루스에 대해서 적어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마찬가지로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라우이수키아과에 속하는 생물군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질시대와 공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라이아스기의 생물 4 (0) | 2022.10.04 |
---|---|
트라이아스기의 생물 3 (1) | 2022.10.04 |
트라이아스기의 생물 (1) | 2022.10.03 |
페름기의 공룡 (1) | 2022.10.03 |
공룡의 종류 (0) | 2022.10.02 |
댓글